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Google Cloud Platorm
- Cloud SQL
- VPC
- 아마존웹서비스
- Cloud Datastore
- Amazon Web Service
- gcp
- AWS
- Cloud Spanner
- GKE
- 앤서블
- Compute Engine
- Reverse Proxy
- playbook
- container
- AWS Solution Architect
- kubernetes
- Solution Architect
- AWS Database
- Kubernetes Engine
- Cloud Bigtable
- AWS Certificate
- Google Cloud Platform
- Google Cloud
- Cloud Storage
- Google Cloud Platrofm
- ansible
- AWS 자격증
- 리버스 프록시
- Solution Architect Certificate
- Today
- Total
목록development (42)
sungwony
HTTP 프로토콜원문을 토대로 개념을 정리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. 문제시 삭제하겠습니다.원출처 : https://www.joinc.co.kr/w/Site/Network_Programing/AdvancedComm/HTTP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입니다.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/IP 위에서 작동합니다. 가장 성공적인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. HTTP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든지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인터넷상에 흔히 볼수 있는 HTML로 작성된 문서는 HTTP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한 종류일 뿐입니다. 이미지, 동영상, 오디오, 텍스트 문서 등 종류를 가리지 않는다..고..
자료구조를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포스팅하기에 앞서먼저 자료구조 목차를 정리하고 시작하고자 합니다.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란 전산학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(위키백과) 자료구조의 필요성은 언급하지 않아도 잘 아실 것 같지만, 저를 비롯해서 생각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자료구조의 필요성에 비해 이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개발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자료구조 공부는 시작과정에서는 현재 가지고있는 2권의 책을 활용하고, 커뮤니티등을 보면서 조금 더 필요한 도서를 구해서 공부할 예정입니다. [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] 목차 1.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1-1. 자료구조(Data Structure)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1-2.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방법 2..